[태그:] 기독교

  • 지혜로운 아들과 오만한 자의 차이 – 잠언 13장

    잠언 13장을 중심으로 지혜로운 아들이 아버지의 훈계를 듣는 것과 오만한 자가 꾸지람을 듣지 않는 차이를 묵상합니다. 일상에서의 죄와 순종, 행동으로 증명하는 신앙을 다룹니다.

    잠언 13
    1 지혜로운 아들은 아버지의 훈계를 들으나 오만한 자는 꾸지람을 듣지 않는다. (직역성경).

    훈계를 듣고 바로 회개하여 고치는 것이 듣는 것이다. ‘그렇게 할게요’ 하고 하지 않으면 그것은 듣지 않은 것이다. 입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지만, 말만으로는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드시 행동으로 증명해야 한다.

    죄를 짓게 하는 습관들, 무엇이 죄인가. 부부가 떨어져 있는 것이 죄이다. 애인과, 혹은 아내와 데이트 하면서 딴 여자에게 눈이 따라가는 것이 죄이다. 해봐라, 곧바로 이글거리는 분노의 질투를 느낄 때니까. 예수님께서 지금 나와 교제하기 원하시는데, 기도해야 하는데, 그것을 알고 느끼면서 유튜브 틀고 뉴스 보고 있으면 그것이 죄이다. 즉, 하나님을 떠나 있는 것이 죄이다. 말만 하면서 행동이 따라가지 않아도 그것이 죄인 것이다. 그러니 아이에게 부모님 말씀에 바로 순종하도록 양육하면서 자신은 하나님의 뜻에 즉각 순종하지 않는 것도 죄이다.

    그러니, 내가 아이들에게, 가족에게, 이웃에게 할 말이 있을까. 없지. 나나 잘해야지. 그렇지. 이따금씩, 혼자 뉴스 틀고 있는 것이 주님께 죄송할 때가 있다. 그래서 이제는 나 혼자 안 보고, ‘예수님 내 옆에 계세요 같이 봐요’ 한다. 나쁜 걸 보는 게 아니니, 뭐 괜찮을까. 그러다 “이제 꺼라, 그만 봐라” 하시는 것 같은 감동을 받으면 최대한 바로 끄고 잔다. 아니면 기도한다. 이도 저도 아닐 때는 말씀을 읽는다. 말씀을 꼭 밥으로만 먹어야 되는 것은 아니다. 간식으로도 먹을 수 있다. 영이 출출할 때 언제든지 말씀을 읽어요.

    뭐 이런 문제들은 괜찮다. 그러나 오만한 자는 어떻게 하는가. 왜 그래야 되요? ‘나는 그렇게 말고 다르게 하고 싶어요. 싫어요, 안 해요’ 하며 부모를 대적한다. 그리고 하지 말라 하는 것은 그렇게 한다. 결국은 손바닥이나 엉덩이에 맴매를 맞게 되는 것이 있다. 인내하며 타이르고 가르치는 것보다, 때로는 따끔한 맴매 몇 대가 더욱 효과적일 때도 있다.

    아이들은 나를 비추는 거울이다. 그들을 보면서 나는 오늘 훈계를 받는다. 대부분 나에게서 배운 것들 아닌가. 그러니 어쩌겠나, 나부터 회개하고 끊고 돌이켜야 하는 것이다. 주여, 살려주세요, 아멘.

  • 잠언 29장 11절: 화를 다스리고 영을 가라앉히는 지혜

    잠언 29:11을 통해 화를 내는 순간과 지혜로운 마음의 차이를 배우고, 속사람의 회복과 영적 성장을 경험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잠언 29
    11 어리석은 자는 그의 모든 영을 나오게 하나, 지혜로운 자는 뒤로 가라앉힌다. (직역성경).

    화가 납니까? 네, 화가 납니다. 왜 화가 납니까? 이래저래서 화가 납니다.

    그래서 화를 내는가, 화를 내고 있는가. 씩씩거렸는가, 콧김이 나오나. 당신은 또 졌다. 뭐, 내 얘기인 것이다. 나는 가끔씩 진다. 그래도 얼른 회개한다. 그러나 비슷한 영역에서 자꾸 지다 보면 맷집이 쌓인다. 이거 은근히 중요하다. 맷집 없으면 한 방에 나가떨어지거든. 그런데 맷집 있으면 버틸 수는 있다. 속은 뒤집어져도 입이 전처럼 안 열리거든. 일단 버티기라도 해야 나중에 돌파를 하든 할 것 아닌가. 한 방에 나가떨어지면 이길 재간이 없다. 내 모든 영을 확 다 쏟아붓고는 뻗어버린다. 그러나 스무 대를 버틸 수 있으면, 그 사이에 한 방을 노릴 틈이 보이는 것이다.

    맞고 있는 줄도 모르면 어렵겠지만, 그것을 알고 있다면, 그리고 어디에서 어떻게 뚫리는지도 관찰하고 있다면 대적이 공격하는 패턴도 곧 읽히게 된다. 그 틈을 타서 일격을 가하는 것이다.

    나의 영을 나오게 하는 영역이 있다. 왜 그 부분에서 나의 모든 영을 나오게 하는지 관찰하고 또 관찰한다. 요즘은 모두는 아니다, 아주 일부분의 영만 나오게 한다. 묻고 또 묻다 보면, 동시에 회개하고, 또 넘어지면 또 회개하고, 그렇게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주께서 치유해 주시는 영역이 있다. 그럼 내가 승리한 것이다. 일단은. 이제는 뇌와 신경을 타고 반사적으로 흐르는 회로를 다시 그려야 한다. 뒤로 가라앉히는 회로를 신경줄기에 새겨야지.

    특별히 주일예배는 나의 속사람이 치유받는 시간이기도 하다. 지난 주일에는 주님께서 나의 발을 씻겨 주셨다. “기범아, 너도 해야지” 하시면서 말이다. 미치는 줄 알았다. 그만 씻기시라고요. 완전히 내게 입 틀막을 하신 것이다. 오늘은 손가락으로 나의 이마를 톡톡 치시는 것 같았다. 행복했다. 주님은 나를 온유한 자로 만들어 가신다. 아멘

  • 거만과 수치, 그리고 겸손이 주는 지혜 – 잠언 11장

    거만과 수치, 그리고 겸손이 주는 지혜 – 잠언 11장

    잠언 11:2 말씀을 통해 ‘거만함이 수치를 불러오고, 겸손이 지혜를 가져온다’는 영적 원리를 묵상합니다. 가인의 선택과 우리의 일상 속 반응을 연결하며, 수치에서 자유케 하시는 예수님의 은혜를 나눕니다.

    잠언 11:2
    거만함이 들어올 때 수치가 들어오나 겸손한 자들에게는 지혜가 있다. (직역성경)


    오늘은 수치에 관한 메타인지를 하는 날이다. 수치는 거만할 때 들어온다. 예를 들면 아이들에게 버럭 할 때조차도 수치가 들어온다. 그러니 내게는 쌓여 있는 수치가 그만치 많은 것이다. 가장의, 어른의 뜻에 따르지 않는 아이에게 분노가 올라올 때, 왜 씩씩거리나. 그 이면에 있는 것이 두려움과 수치이다.

    가인은 자기의 수치를 해결하려고 그의 근원을 제거(살인)하는 쪽을 택하였다. 오늘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자기의 부모를, 권위자를, 자녀를, 그리고 많은 사람들을 죽일 수 없으니 미워하며 자신을 죽이는 쪽으로 행하는 것이다. 이게 모두 죄의 열매, 즉 선악과의 열매 아닌가. 거만하여 두려움과 수치가 따라오니 다른 사람에게 버럭하며 분을 내는 것이다.

    거만할 때 수치가 들어오지, 혈기를 내야 수치가 오는 것이 아니다. 입을 다물어도, 입술을 지켜도 그 전에 교만하면 수치는 그냥 들어온다. 그러니 이제 어떻게 할까. 회개해야지. 나의 상처를 계속 내어드려야지. 성령이 만지실 때, 수술하실 때 고통스러워 구르면, 그분은 잠깐 하시고 멈추시는 것 같았다. 그때에 어떻게 할 것인가. 지금은 여기까지만 하시나 보다 할 것인가, 나 괜찮으니 계속 하시라고, 통째로 다 가져가시라고 힘써 그분의 손을 끌어당기겠는가.


    예수님, 도와주세요, 오늘 나의 상한 심령을 다 가져가 주세요. 나를 긍휼히 여겨 주세요.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