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기독교 신앙

  • 잠언 23의 교훈: 부자가 되려는 유혹보다 지혜와 믿음을 선택하라

    잠언 23장은 부자가 되려는 헛된 욕심보다 하나님을 경외하며 지혜를 따를 것을 강조합니다. 좌절 대신 희망을 붙잡고, 가정과 믿음 안에서 참된 소망을 찾는 삶을 나눕니다.

    잠언 23장
    4 부자가 되려고 애쓰지 마라. 네 총명으로 그런 생각을 그만두어라. 17 네 마음으로 죄인들을 질투하지 말고 오직 온종일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를 질투하여라. 18 반드시 미래가 있으니 네 희망이 끊어지지 않을 것이다. 19 들어라, 내 아들아. 그래서 지혜로워라. (직역 성경)

    듣는 자가 지혜롭다. 일단 들어야 할 것 아닌가. 길가, 돌짝밭이라도 일단 들어야 할 것 아닌가. 바위틈에 떨어진 씨앗도 결국은 그 바위를 깨뜨리기도 한다. 자기 능력이 아니다. 가을의 이슬이 얼어 그 힘으로 돌을 깨는 것이다. 지금 당장 열매를 맺지 못한다고 좌절하지 말자. 옥토밭이면 가장 좋겠지만, 지금 나의 상태가 옥토밭이 아니라면 어쩌겠는가. 그래도 심어야 할 것 아닌가. 일단 심어야 뭐가 되든 되지 않겠는가. 혹시 아는가. 갈라진 틈 사이로 물이 스미고, 추운 겨울을 겪으며 그것이 얼어 바위를 깨뜨릴지 누가 알겠는가.

    그러니 부자가 되려는 어리석은 생각을 버리고, 조금 더 편안함을 위해 조금 더 많이 벌어보려는 유혹을 버리고 오히려 그 시간에 지혜를 듣자. 가족과 자녀들과 성도들과 시간을 조금 더 함께 보내자. 그것이 더 좋다. 속사람 치유받을 때, 나의 부모에게 그렇게 말해 달라고 예수님께 부탁하는 것 같다. 나만 그랬나. 다 그렇지 않을까.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들을 질투하여 그들처럼 주님께 다 드리는 것이다. 가정도, 재정도, 미래도, 현실도 다 드리면 내가 붙잡을 게 없다. 가장의 책임감과 그 압박감도 다 사라진다. 가정에 미안하지 않아도 된다. 무능해 보이는 자신을 원망할 필요도 없다. 어쩌겠는가. 다 서로 감내하고 용서하며 사는 것이다. 예수님 안에서 그저 서로 사랑하는 것이다.

    반드시 미래가 있다고 하지 않는가. 네 희망이 끊어지지 않는다. 길바닥에 나앉을 것 같아도 괜찮다. 절대 그렇게 안 될 거니까. 일을 할 수 없어서 백수여도 괜찮아. 염려하지 마. 절대로 안 굶고, 자식들 안 굶길 거니까. 주님이 도우신다. 그분이 이끌어 가신다. 업어 인도하신다. 일단 주님 손에 다 맡겨 보라. 그럼 알게 된다. 경험하게 되어 있다.

    나의 청소년 아이도 이것을 인정한다. 하나님이 어떻게 도우시고 입히시는지 옆에서 다 봤으니까. 그렇게 자신의 신앙을 키워 간다. 어떤 사춘기 아이는 자기 동생에게 그런다. “필요한 거, 먹고 싶은 거 있으면 그냥 주님께 다니엘처럼 구해 봐. 다 주셔.” 그 아이의 간증 아닌가. 그 아이는 먹고 싶은 음식들이 따라다닌다. 그냥 잠깐 기도했을 뿐인데, 어디에 가든 자기 원하는 음식이 거기 있다고 그런다. 밤에 너무 더워 못 견디겠으면 꿈속에 목사님께서 시원하게 에어컨을 틀어주실 때도 있다. 또 어떤 아이는 늘 우산이 따라다녀. 그 아이와 함께 다니면 비 맞을 일 없다.

    주께서 내게 허락하신 나의 미래가 있다. 내 주님이 영원하신데 어찌 나의 희망이 끊어지겠는가. 예수, 나의 참 소망. 아멘.

  • 온유한 혀는 생명나무, 항상 잔치하는 삶 – 잠언 15장

    잠언 15장을 묵상하며 ‘온유한 혀는 생명나무’라는 말씀의 의미를 풀어봅니다. 예수님의 온유한 말씀과 함께 분노 대신 기쁨으로 살아가는 믿음의 삶, 항상 잔치 같은 하루를 누리는 비밀을 나눕니다.

    온유한 혀는 생명나무이나, 패역한 혀는 영을 상하게 한다. 15 가난한 자의 모든 날은 악하나, 마음이 선한 자의 모든 날은 항상 잔치다. 잠언 15:4,(직역성경)

    오만한 자의 교만을 꺾고 회개하도록 이끄는 혀가 있고, 바른 말이라도 심령을 아프게 하는 혀가 있다. 그런데 예수님은 항상 나를 살리는 말씀만 하셨다. 내게 “너의 거만과 그 큰 거역을 회개하라” 하실 때에도, 나 스스로 그 부분을 충분히 인지할 때까지 기다리셨다가 마음이 상하지 않도록 말씀하셨고, 과거 지아비를 향해 칼을 품고 있을 그때에도 전혀 정죄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기범아, 나와 함께 가자” 하시며 손을 내밀어 주셨다. 그분의 입술은 온유한 혀이다. 그분을 닮고 싶을 뿐이다.

    선한 자의 모든 날은 항상 잔치다. 무슨 말이냐면 항상 기쁘다는 뜻이다. 그러나 내게서 분노가 올라온다면 그 날은 악하다는 것이고, 곧 나는 가난한 자인 것이다. 환난과 궁핍 가운데 있었던 서머나 교회를 향하여 예수님께서는 “실상은 네가 부유하다”라고 말씀하셨다. 환경이 어떻든, 재정이 어렵든 상관없다. 알파와 오메가요 죽었다가 다시 사신 예수님께서 “실상은 네가 부요하다”라고 말씀하시면 그는 부유한 자인거다. 정말 예수님께서 내 안에 계시다면 날마다 기뻐야 하고, 기쁠 수밖에 없고, 고난 가운데 궁핍하다 하여도 부유해야 한다. 왜냐하면 예수님이야말로 전부, 나의 전부 아니신가. 그것이 사실이고 진리다. 그러니 나의 모든 날들은 항상 잔치다.

    며칠 전에 일 때문에 전에 살던 고향집을 방문하게 되었다. 내가 40년 살던 집을 보고 참 마음이 쓰리고 아팠다. 그 오래되어 낡은 옛날 연립주택. 팔리지도 않는 그 집이 어떻게 눈먼 이단에게 비싸게 팔려서 지금 사는 이곳으로 이사 왔고, 글파를 만났고, 아둘람 같은 이곳에서 자녀 둘을 더 얻지 않았는가. 선하신 주님께서 인도하여 주신 것이 확실하지 않은가. 이렇게 큰 축복을 받았으면서 무엇을 더 바라겠는가. 나 혼자 일해서 6명 대가족을 먹였겠는가. 아니다. 오히려 주님의 도우심과 공급이 얼마나 많았는가. 이게 다 어떻게 된 일인가. 나는 미래 계획 하나도 세우지 않는데, 그저 오늘 하루에 충실하게 주님을 따라가려 할 뿐인데, 뒤돌아보면 감사할 일만 있는 것이다.

    아내도 내가 찾았는가. 아니, 오히려 나는 삶을 주님께 드렸다. 결혼도 내 삶의 일부 아닌가. 그래서 다 드렸는데, 주님 발걸음 따라가다가 아내도 만난 것이다. 주님께서 내 앞에 데려다 놓으셨는데도 내가 좀 둔해서 그런지 나의 베필감인지도 못알아 보았지. 자녀들도, 학교도, 직장도 다 그렇게 그때그때마다 이끄시고 공급하시는 주님의 손이 있었다. 그런데도 나는 내 혈기를 못 이겨 가족들에게 씩씩댔다. 그러니 얼마나 더 회개할 일이 많겠는가. 이제는 나의 삶에서 악한 모든 날들을 다 빼어 버리고, 온전히 잔치날로 채우겠다. 나의 입이 온유한 입술이 되어 갈수록 나의 날들은 더욱 잔칫날에 가까워진다. 예수님, 도와주세요. 감사합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