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속사람치유

  • 잠언28장: 숨긴 죄는 형통을 막고, 자백은 자비를 부른다

    잠언 28장 13절은 우리에게 죄를 숨기면 형통하지 못하지만, 자백하고 버리는 자는 자비를 얻는다고 말한다. 속사람 치유의 과정에서 우리는 과거의 죄뿐 아니라 지금의 죄까지 고백하며 진정한 회복을 경험한다.

    “자기 범죄들을 숨기는 자는 형통하지 못하나 자백하고 버리는 자는 자비를 얻을 것이다.” (잠언 28:13, 직역성경)

    하나님께서는 숨김없는 자를 기뻐하신다. 속사람의 치유는 단순한 감정 회복이 아니라, 마음 깊은 곳에 숨겨진 죄를 직면하고 자백하는 과정이다. 과거의 잘못만이 아니라, 그로 인해 지금까지 이어지는 관계 속의 죄까지 함께 고백할 때 진정한 회복이 일어난다.

    자녀를 향한 부족함을 깨닫고 미안함을 표현하는 일, 오래된 상처를 남긴 이에게 찾아가 용서를 구하는 일은 믿음의 실천이다. 용서는 나의 몫이지만, 회개는 피할 수 없는 책임이다. 숨기지 않고 고백하는 자에게 하나님은 자비를 베푸신다.

    권위 아래 있는 사람들에게도, 가족에게도 숨김없이 진심으로 사과할 때 그곳에 은혜가 임한다. 숨긴 죄는 형통을 막지만, 고백은 하나님의 자비를 여는 열쇠다. “예수님, 내 속의 악한 것들이 다 드러나게 하소서.” 기도합니다.


    묵상 원본

    속사람 치유를 받을 때마다 숨겨진 자신의 범죄함을 깨닫고 회개하며 돌이키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자녀들이 자라가면서 나의 부족함을 깨닫고 그들에게 미안하다고 말하는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된다.

    용서는 내가 하는 것이다. 그것은 나의 몫이다. 그러나 작은 자 한 사람을 실족하게 하는 사람에게는 책임이 없는가? 아니다. 결코 그렇지 않다.

    속사람 치유를 받을 때 과거의 잘못만 회개하는가? 나는 그렇게 않되더라. 그 사건으로 인해 지금 나의 자녀들에게 내가 그렇게 악하게 하였음을 함께 깨닫고, 지금 나의 죄를 동시에 고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내가 누구에게든 범죄함이 드러났으면 반드시 회개하고 돌이키는 것은 당연하다. 더하여 이웃을 찾아가 미안하다고, 용서의 한마디를 구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속사람 치유도 받고, 국민학생 때 욕하고 떠나간 선생님도 찾아가 죄송하다고 말하고 하는 것이다.

    나도 소문난 장난꾸러기였다. 사촌 누나 얼굴에 불침 한 방 놓고 고모한테 마빡 맞은 적도 있고 그러지 않았나. 나중에 미안하다고 다 고백했다. 내 동생은 오빠가 자기 발가락에 불침 놨다고 아직도 말하고 다닌다. “너 자다가 새끼발가락에 불침 맞아봤어?” 인상 깊었나 보다.

    아이들에게도, 아내한테도 미안하다는 말을 해야지. 입 다물겠는가? 나의 권위 아래에 있는 사람들에게 아무것도 안 하고 입 다물겠는가? 권위자는 무조건 선인가? 아니다. 그러니 자기 범죄를 숨기지 못한다. 할 수 있는 한 나의 범죄함을 다 고백하겠다. 그러니 예수님, 더욱 내 속의 악한 것들이 다 드러나게 해주세요.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