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언 10을 중심으로 자녀 양육과 신앙적 책임을 묵상합니다. 부지런함과 방임의 차이, 목자로서의 부모 역할, 실천적 신앙생활에 대한 고백과 적용을 쉽게 정리했습니다.
잠언 10
3-5 여호와께서 의인은 굶기지 않으시나 악인들의 탐욕은 밀어내신다. 게으른 손은 빈곤을 만드나 부지런한 손은 부유하게 한다. 여름에 모으는 자는 분별력이 있는 아들이나 추수 때 깊이 잠자는 자는 부끄러운 아들이다. (직역성경).
자녀를 주님 손에 올려드리는 것과 방임하는 것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게으른 손과 부지런한 손의 차이는? 자기 밭에서 부지런해야 하는 것이다. 자기 밭에서 모으고 추수하는 것이다. 그것이 부지런한 손이다. 그리고 여력이 있으면 남의 밭을 도와주는 것이다. 언제가 여름이고 추수 때는 어느 때인가. 그러니 남의 일에만 부지런한 것도 내가 보기엔 게으른 손이다. 정작 자기 해야 할 우선순위를 뒤로 미루었기 때문이다. 자녀를 주님 손에 올려드린 자는 아무 염려 없이 그 영혼을 위해 기도하겠지만, 방종하는 자는 아무 것도 하지 않을 것이다. 마치 술로 인생을 탕진하는 어떤 가장처럼. 어쩌면 억지로 잡아끄는 것은 사랑이 아니다.
나는 나의 양들을 잘 보살폈는가. 과거를 돌아보면 그렇지 못했다. 분노로 이글거리며 나의 틀에 끼워 넣으려 하였었다. 사랑으로 하지 않았다. 나도 말로 인한 상처를 많이 받고 자라서인지, 가족들에게 말로 상처를 많이 주었었다. 내 것이라 생각하고 내 마음대로 하였었다.
나도 장남이고, 내 딸도 장녀다. 그러니 내게 있던 그 많은 말의 상처들이 장녀에게로 다 간 것이다. 그래서 더 이상 그 아이를 망치지 않으려고 주님 손에 올려드린 후에 나는 그 아이를 위해 기도하고 있는가, 아니면 방임하고 있는가. 저녁에 어린 아이들과 놀아주지 않으면서 그들이 서로 싸운다고 뭐라고 하고 있으면, 그것은 아이들을 방임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그들을 섬기며 서로 싸우지 않고 서로 배려하는 것을 알려주면서 그들의 마음을 예수님께로 인도하는 아빠라면, 더욱이 그들이 내 자녀가 아니라 왕의 자녀들로 인식하며 그렇게 대우하고 있다면, 나는 그들을 방임하는 것이 아니라 주님 손에 올려드리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요즘에는 저녁에 집 근처 놀이터로 나간다. 자기 입에서 “아빠 이제 집에 가요”라는 말이 나올 때까지 실컷 놀아준다. 그러면 나보고 만점아빠란다. 나는 전혀 누려보지 못한 삶이다. 사춘기 장녀에게도 비슷할 것이다. 예수님이라는 바운더리를 잘 쳐주어야지. 학생으로서의 신분을 잘 지키도록 해야지.
나의 큰 아이에게도 고민이 있다. 둘째에게도 그렇다. 둘이 성향은 다르지만 그렇다. 그때에는 고민이 많을 때라고 그러고 말겠는가. 자기 뜻대로 하도록, 아니면 상황이 안 되니 그냥 체념하도록 두어야 하겠는가. 아빠의 뜻 밖으로 나갔으니 네 아픔에 나는 관심 없다 하겠는가. 자녀가 귀하게 여기는 것을 나도 귀하게 여겨야 하고, 자녀가 아파하는 것에 나도 동참해야 하는 것이다. 그들이 아빠에게 얘기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 것이다. 함께 기도하며 주님의 뜻을 구해보자고 그들의 마음을 공감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감사한 것은 아이들이 내게 툭툭 털어놓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감사하다. 나도 예수님처럼 선한 목자라면, 그들의 고민을 듣고 흘려버리지 않을 것이다. 최소한 기도라도 할 것이다. 왕의 자녀로 든든히 서도록, 마지막 때의 사명을 감당하도록 기도부터 해야 할 것이다.
내게 맡겨주신 자녀들이 나의 양떼라면 그들은 주님의 양떼이기도 할까. 저 아이는 내게 순종하지 않으니 내 양이 아니야 하실까. 전에 나는 큰 아이를 그렇게 대했다. 그랬더니 자신이 쓰레기인 줄 알더라. 아빠에게 버림받지 않으려고 몸부림치더라. 얼마나 많이 회개했는지 아는가. 얼마나 많이 울었는가. 순종은 강요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그 가치를 깨닫고 스스로 마음을 열어야 하는 것이다. 그 아이는 보석이다. 찬란하게 빛나는 보석. 이제는 그 아이 자신도 인정한다. 정말 감사하다. 그 아이가 받아들일 수 있을 때 받을 수 있는 말만 전했다. 오래 걸렸다. 학교 다닐 때도 하고 싶은 말이 참 많았지만 받을 준비가 안 되어 있는데 어쩌겠나. 나도 몇 달, 몇 년을 기다려 한마디 건낸다. 그러나 아직도 어렵다. 방임인지 주께 올려드린 것인지.
내게 지금까지 어린 아이들을 양육하도록 하시는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어린 아이들이 나를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길에서 처음 보는 아기들도 나를 보고 웃는다. 왜 그들은 주일마다 내게 와서 놀이터 언제 가냐고 삼촌만 쳐다보고 있나. 자기 아빠도 있는데 말이다. 무엇이 부지런한 손인가. 여름은 언제인가. 바로 지금이다. 아이들이 내게 모이는 이때, 내가 누리지 못했던 것들을 베풀 수 있는 이때, 지금이 나의 여름이다. 주께서 내게 허락해주신 작은 행복이고 선물이다. 나의 자녀가 아니어도, 내게 순종치 않아도 괜찮다. 무리 중에 도망가는 양을 위해 목자는 찾아 나선다. 다른 무리들을 뒤로 하고서라도 말이다. 어쩌면 나의 양들이 아니라 나의 주님, 왕의 양떼들이다. 그들이 내게로 올 때 나는 무엇을 하겠는가. 나는 그저 예수님처럼 왕의 양떼를 치는 선한 목자이고 싶을 뿐이다. 그 길을 배워가는 중이다. 아멘.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