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가족

  • 제목: 잠언 26장 묵상 | 절름거리더라도 앞으로 나아가는 믿음

    잠언 26장을 묵상하며, 스스로 지혜롭다고 여기는 자보다 절름거리더라도 앞으로 나아가는 자에게 소망이 있음을 배운다. 부족함과 연약함 속에서도 하나님을 의지하며 오늘도 한 걸음 나아가는 믿음의 걸음을 살펴보자. 잠언 26장 말씀 묵상으로 삶에 적용해 보자.

    “네가 스스로 지혜롭게 여기는 자를 보느냐? 그보다는 어리석은 자에게 더 소망이 있느니라.” (잠언 26:12, 흠정역)

    어리석은 자는 쓸모없어 보인다. 그러나 그는 절뚝거리더라도 앞으로 걸어간다. 반면, 스스로 지혜롭다고 여기는 게으른 자는 제자리에서 돌고 돈다. 문짝이 돌쩌귀 위에서 도는 것처럼, 그는 한 걸음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절름거리더라도 앞으로 나아가라.

    맴돌고 있다면, 그곳에서 나는 게으른 자다. 곧 교만하여 하나님을 거역하는 것이다. 나에게 내려온 독불장군 같은 기질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제는 그것을 깨고자 한다. 절름거리더라도, 어리석은 자의 길을 택하겠다. 부족함을 드러내며, 사람들 앞에 서겠다. 절름거리더라도 앞으로 나아가라.

    용서와 관계 회복도 마찬가지다.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아프다면 아직 용서하지 못한 것이다. 아버지로서, 남편으로서, 나는 권위의 자리에서 절름거리며 내려와야 한다. 자녀가 먼저 말하기를 기다리지 않는다. 내가 먼저 말을 건다.

    기도만으로는 관계의 골이 메워지지 않는다. 권위자가 먼저 다가가야 한다. 부끄럽지만, 그것이 진짜 회복의 시작이다. 절름거리더라도 앞으로 나아가라. 그 길에서 예수님이 강함이 되신다. 오늘도 한 걸음 나아가겠다.


    묵상 원본

    어리석은 자, 쓸데없다. 그러나 저는 자가 아무리 절뚝거려도 그는 앞으로 걸어간다. 절뚝절뚝 뒤뚱거려도 그가 원하는 방향으로 걸어갈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을 스스로 지혜롭게 여기는 게으른 자는 그 자리에서 한 걸음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빙글빙글 그 자리에서 돌고 돌 뿐이다. 문 밖에 사자가 있으니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한다. 게으른 자는 곧 교만한 자이다.

    만일 내가 어느 영역에서 맴돌고 있다면 그 영역에서 나는 게으르다는 말이 된다. 곧 교만하여 스스로 하나님을 거역하고 있는 것이다. 내게는 독불장군 같은 것이 있다. 전쟁을 두 번 겪으신 나의 조부모와 홀로 자수성가하신 아버지에게서 내려받은 것이다. 내가 보고 배운 것이 그것이다. 홀로 삶의 난관들을 헤쳐가는 것. 그러나 이제는 그것을 깨려고 하는 것이다.

    스스로 지혜 있다 하는 자보다 어리석은 자에게 소망이 있다. 절름거리더라도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더 좋은 것이다. 교만함을 버리고 어리석은 자의 모습을 택하겠다. 부족하고 절름거리는 모습 그대로 사람들 앞에 서 보겠다. 내겐 어려운 일이지만…

    아무리 큰 상처도 시간이 가면 아물고 통증은 사라진다. 내가 과거에 용서했다고 하는 사건들이 충분히 아물 시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아프다면 그건 아직 용서를 못한 것이다. 그러니 누구나 그렇듯이 내게도 그 아픔이 없다고 한다면 거짓말이겠지. 누구나 이런 과정을 통과하고 있을 것이다.

    나도 비록 불의하지만 그래도 아빠이고 남편이지 않은가. 이따금씩 큰아이와 아내가 과거의 아픔을 이야기하면 내 마음도 무너진다. 나도 나의 아픔이 있다. 주님만 아시는… 그러나 외면하지 않고 들으려 한다. 내가 잘못한 것은 미안하다고 한다.

    자녀가 부모에게 먼저 섭섭함을 고백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늙으신 부모가 세상을 떠나려고 하실 때나 하는 것이다. 어린 자녀들에게는 부모가 먼저 다가가 말을 걸어야 한다. 내가 가끔씩 큰아이하고 몇 시간이고 이야기하는 이유다. 서로 언성을 높이고 다투고, 미안하다고 고백하고 용서하며 밤을 샌다. 내 속을 다 뒤집어 보여준다. 나는 권위자에게 그런 것을 받아보지 못했기에, 비난을 받아도 권위자가 늘 옳았지. 내가 더 늙기 전에, 아이가 장성하여 집을 떠나기 전에 풀어야지 않겠는가.

    기도만 한다고 되는가. 절대 그렇지 않다. 그게 아빠라는 권위자와 상처받은 자녀 사이에 삶의 깊이 파인 골을 풀어가는 방법이다. 저절로 해결되지 않는다. 권위자의 수치를 가족들 앞에서 절름거리며 드러내는 것이다. 나도 사랑한다. 무지무지 사랑한다. 그러니 내 것을 다 내어주는 것 아닌가. 그러나 그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권위자가 먼저 말을 걸어오지 않으면 결코 풀어지지 않는 문제가 반드시 있다. 네 분의 어르신 장례를 치르면서 배운 것이다. 그것을 안 한 권위자는 평생 자녀의 얼굴을 못 보거나, 아니면 임종 앞에서라도 자녀들에게 섭섭한 말을 들어야 하는 것이다. 나는 그러기 싫다. 내가 먼저 하겠다.

    내 비록 부족하고 절름거릴지라도 푯대를 향하여 앞으로 비틀거리며 걸어갈 수 있는 것에 감사하겠다. 내가 가장 약할 그때에 나의 강함이 되시는 예수님을 소망하겠다. 아멘.

  • 귀인의 말습관, 당신의 말은 안전한가요? – 말씀 묵상 : 잠언 17

    잠언 17장을 통해 귀인의 바른 말과 입 조심의 중요성을 배우며, 일상 속 말의 힘을 돌아보는 묵상입니다. 오늘은 잠언 17 말씀으로 귀인의 말습관과 교훈을 함께 살펴보고, 오늘 묵상을 통해 나의 말습관을 점검해봅니다.

    바른 말이 어리석은 자에게 어울리지 않는데 하물며 귀인에게 거짓 입술이 어울리겠느냐? (잠언 17:7, 직역성경)

    귀인의 말과 지혜

    오늘 말씀은 내게 귀인을 상기시킨다. 귀인에게는 거짓 입술이 어울리지 않으며, 입을 닫는 지혜가 필요하다. (잠언17, 귀인, 말습관 키워드 강조)

    아이들의 말습관 관찰

    아이들의 말놀이에서는 다소 자극적인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어른이 되어도 이러한 말투로 행동한다면 주변 사람들은 피할 것이다. 귀인에게 거짓 입술, 왜곡된 말, 비난의 말은 이와 같다. (말습관, 바른말 키워드 강조)

    조용함과 관계 회복

    여름과 추수철의 비처럼 우리의 왜곡된 말이 주변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조용히 있는 것이 최선이다. 집에서도 아이들은 말의 중요성을 배우고, 작은 사과와 양해를 통해 관계를 회복하게 한다. (입조심, 가족, 아이교육 키워드 강조)

    실수와 교훈

    말 실수는 누구에게나 있다. 중요한 것은 아이엠 쏘리를 생활 속에 익혀 중간이라도 가는 지혜를 갖는 것이다. 나는 귀인으로서, 나의 입은 예수님의 것이다. 아멘. (신앙묵상, 예수님 키워드 강조)


    글 원본

    오늘 이 말씀에 내게 말을 건다. 너는 귀인이다. 그래서 네게는 거짓입술이 어울리지 않아. 그러니 그 입 닫아!

    남자 어린 아기들이 좋아하는 말놀이가 있다. 똥, 설사, 천년 묵은 빤쓰, 뭐 이런것들이다. 책도 있다.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같은… 가끔은 너무 거시기해서 귀가 너무 힘들다 싶으면 자제하고 절제시키다가 아이에게 한 마디 한다. 지금부터 말하지 마! 이렇게 안하면 제동이 안 걸려.

    뭐 그런거다. 어른이 되어서 저러고 있다고 생각해봐라. 아마 다들 도망가겠지. 창피해서 나랑 같이 안 다니려고 할 것이다. 귀인에게 거짓 입술이 이와 같은 것이다. 왜곡되고 비뚤어진 말들, 비꼬고 비난하는 말들 다 이런 것들이다.

    여름에 눈처럼, 추수때 비처럼, 요즘 내리는 비가 딱 그렇지 않은가. 과수원 주인들이 얼마나 근심하고 있는가. 그러니 나의 입에서 왜곡되어 비뚤어진 말들이 나갈 바에야 아에 입을 꾹 닫는 것이 더 좋다. 조용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간다.

    집에 있다 보면 가끔 주변에서 말을 듣는다. 여보 아이들에게, 그런 말은 하는거 아니에요. 아빠는 왜 그렇게 말해서 누나 기분 나쁘게 만들어요. 아빠, 우리끼리 예기하고 있을때는 끼어들지 마세요 같은 말들이다. 아빠는 잘 모르면서 왜 아무렇게나 말해요. 6살짜리도 내게 이런 말을 가끔식 한다. 그럼 어쩌나. 바로 미안해, 아빠가 잘 몰랐어. 아이엠 쏘~리! 정말 미안해.

    그러나 전에는 이 말이 안 나왔다. 나의 권위 아래에 있는 자들에게 사과 한 마디 하는 것이 그렇게 힘들었다. 나도 나의 엄마에게서 몇번, 그리고 전에 박목사님에게서 한번 들은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사람이 말 실수를 안하고는 살아지지 않는다. 어쩌다가 입이 방정일때가 있는 것이다. 그러니 가장 좋은 것은 아이엠 쏘~리를 입에 달고 사는 것이다. 그러면 이따금식 실수 해도 중간은 가는 것 같았다.

    나는 귀인이다. 만점아빠 최고. 나의 입은 예수님의 것입니다. 아멘.

  • 부지런함과 탐욕, 하나님 신뢰의 삶 – 잠언 21장

    잠언 21장을 통해 입과 혀를 지키고, 탐욕을 제거하며 하나님 신뢰를 쌓는 방법을 배워보세요. 자녀와 가정을 위한 진정한 부지런함과 감사의 삶을 탐구합니다.

    잠언 21
    23 그의 입과 그의 혀를 지키는 자는 그의 목숨을 환난에서 지킨다. 25 게으른 자의 탐욕은 자신을 죽이니, 이는 그의 손이 일하기를 거절하기 때문이다. 26 온종일 그는 탐욕을 내나, 의인은 아낌없이 준다. (직역성경).

    가만히 앉아서 어떤 대가 지불도 없이 남의 것을 부러워하는 것도 탐욕이다. 누구는 직장에서, 누구는 기도로, 금식으로 나아가는 이때에, 성경은 부지런히 빵으로 배부르게 하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항상 기뻐하고 쉬지 말고 기도하며 모든 것에 감사하라고 말씀하는 것이다. 다 그냥 되는 것이 아니다. 입과 혀를 지키는 것 역시 자기 힘으로 되지 않는다.

    무엇이 부지런함인가. 그저 가정을 먹여 살리기 위해, 조금 더 풍요롭게 살고 싶어서 열심히 일을 하여 돈을 만드는 것이 부지런함인가. 죽어라 기도하여 필요한 재물을 손에 넣는 것이 부지런함인가. 만약, 하나님이 내게 아버지의 사랑을 가르치시려는데 저 자녀를 바꿔 달라고 기도하고 있다면, 하나님은 내게 재정 훈련을 시키시려는데 필요한 재정을 달라고 하고 있다면, 초점이 안 맞는 것 같다. 그럴 때는 자녀들 있는 모습 그대로 끌어안고 범죄를 간과하여 입을 닫는 연습을 해야 한다. 그럴 때에는 주님께 올려드리고, 손을 떼고 죽이든지 살리든지, 길거리에 내앉히든지 알아서 하시라는 마음으로 그냥 무릎으로 주님 앞에서 감사함으로 견뎌내야 하는 것이다. 죽을 것 같아도, 미칠 것 같아도 반드시 통과해야 한다. 가장으로서의 책임감과 모든 부담감도 다 내려놓고 가족들 앞에서 떳떳해야 한다.

    하나님이 내게 하시려는 것은 내 속에 깊이 박혀 있는 탐욕을 제거하시려는 것이다. 기근 때에 까마귀를 경험하고, 이리저리 공급하시고 인도하시는 하나님을 경험하며 주를 향한 신뢰를 견고히 만들어가는 과정들이다. 자녀의 사랑, 신부의 사랑을 넘어 아빠의 사랑을 배워가는 과정들이다. 길거리에 나앉을 것 같은 상황에서 주님이 도우시지 않는가. 자녀를 굶긴 적 단 한 번도 없지 않는가. 그럼 된 것이다. 심지어 길거리의 노숙자도 불러내어 복음을 전하는 자로 사용하시지 않는가. 그들은 미친놈 소리를 들으면서도 길거리에서 만나는 사람들마다 예수님을 전하고 있지 않는가. 누구든지 이런저런 상황에서 하나님은 기회를 주시지 않는가.

    그럼 오늘 내게는 어떠한 기회들이 찾아올까. 바로 아낌없이 주는 것이다. 나의 시간을, 돈을, 물과 음식을, 그 밖에 많은 것들을 예수님을 위해 내어놓는 것이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을, 지금 내가 누군가에게 할 수 있는 무엇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