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그리스도인 삶

  • 이웃을 대하는 태도와 명철한 자의 삶 – 잠언 11장

    잠언 11장 12-14절 말씀을 통해 이웃을 멸시하거나 험담하는 삶이 아닌, 명철하고 신실한 삶의 길을 묵상합니다. 성경 66권을 자문관 삼아 살아가는 지혜와 자녀 교육의 교훈까지 함께 나눕니다.

    잠언 11
    12-14 그의 이웃을 멸시하는 자는 생각이 부족한 자나 명철한 사람은 가만히 있다. 험담하고 다니는 자는 비밀을 드러내나 영이 신실한 자는 일을 숨긴다. 전략이 없으면 백성이 쓰러지니 승리는 많은 자문관으로 인해 생긴다. (직역성경).

    이웃을 멸시하는 자, 험담하고 다니는 자, 자녀들에게 함부로 말하고 다니는 일반적인 혈기 많은 부모의 모습이다. 직장 상사나 동료들에게서도 볼 수 있다. 군대에서도 그런 사람을 만난다. 나는 이런 부류에서 자유롭다고 할 수 없다. 나도 어느 때에는 이웃을 멸시하고 험담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략을 받아 명철하여 영이 신실한 자는 입을 다물고 가만히 있다. 이웃의 험담거리를 숨기는 것이다. 가만히 있는 것이다.

    그럼 전략이 오는 많은 자문관들은 누구인가. 멀리 볼 것 없다. 바로 성경이다. 성경 66권, 모세로부터 사도 요한의 글들까지, 이 모든 저자들이 곧 나의 자문관들이다.

    무개념, 노개념의 아이들을 양육하면서 하나하나 가르치는 생활 규범들, 성도로서 살아가는 방법과 이유들, 왜 서로 사랑하는지 등등의 수많은 가르침들이 아이들 뒤를 따라가나, 나는, “우와, 이런 것도 가르쳐야 돼? 우와, 이것도 알려줘야 하는 거야? 우와, 당연한 것 아니야?” 하고 있다. 우리에게 당연한 것이 아이들에게는 전혀 생소하며 왜 그러면 안 되는지 이해를 못 하는 경우도 참 많지 않은가. 아이들과 다니다 보면 정말이지 당혹스러운 노개념에 아연실색하며 실소를 머금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닌 것이다. 그러나, 지금 나는 이런 것들을 인식이나 하며 세상을 사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몸이 그냥 알아서 반응하는 것이다. 마치 운전할 때처럼 그렇게 가는 것이다. 운전할 때 별의별 희한한 사건들을 다 만나지 않는가. 정말 골 때리는 현장이다.

    그러니 그때그때, 날마다, 오늘 내게 필요한 자문관들을 찾아 그들의 글을 읽고 기도하며 그대로 행하려고 날마다 연습하는 것이다. 한 권 한 권씩 정독하며 저자의 신앙과 하나님을 향한 사랑, 열정, 순종하는 모습들을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운전 연습할 때처럼 그렇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모인 하루하루가 나의 삶을 아버지를 기쁘시게 하는 오늘로 만들어간다. 생각이 부족한 내가 명철한 사람이 되어가며 이웃의 비밀을 드러내던 입이 점차 다물어지는 것이다. 나의 입이 멸시하며 험담하는 말들을 잊을 때까지 그렇게 하는 것이다. 아멘.

  • 잠언 27장 묵상: 내일을 자랑하지 말라, 오늘에 충실하라

    잠언 27장의 교훈은 내일을 자랑하지 말고 오늘 주님 앞에서 겸손히 살아가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자기 자랑과 교만의 위험, 참된 자존감과 겸손의 차이를 묵상해봅니다.

    잠언 27
    1-3 내일을 자랑하지 마라. 참으로 하루 동안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지 못한다. 다른 사람이 너를 칭찬하게 하고 네 입으로 하지 마라. 이방인으로 너를 칭찬하게 하고 네 입술로 하지 마라. (직역성경).

    내일을 자랑하는 자는 헛된 꿈을 자랑하는 것과 똑같다. 내일은 없기 때문이다. 오직 오늘, 내일도 오늘, 그다음 내일도 오늘, 하루가 지나 내일이 오면, 그때도 오늘, 오직 오늘뿐이다. 그러니 오늘 주님 앞에서 겸손하려고 힘써 싸운다.

    스스로 자신을 칭찬하는 것은 자존감이 높은 것과는 다르다. 자존감이 높은 자는 거울 앞에서 행복하다. 누가 “너 참 멋있다”라고 말해주면, “너 그거 이제 알았니?” 할 것이다. 단체사진을 찍어도 멋있는 나를 먼저 찾겠지. 그러나 오늘 말씀이 말하는 스스로 자신을 칭찬하는 자는 자기의 모습이 아니라, 자신이 하는 일들을 자랑하고 스스로 대견해하며 칭찬한다. 교만한 것이다. 선한 자는 자신에게 만족하고, 악인은 자신이 하는 일에 만족하지 않는가.

    마음의 동기가 무엇인가? 교만함인가, 겸손함인가. 교만하면 자신이 하는 일로 “나 이런 사람이야” 하며 으스대고 뻐긴다. 아니면 끊임없이 비교하겠지. 그러나 겸손하면 하나님이 만들어주신, 세상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오직 유일한 나, 예수님짜리, 하나님의 최고의 걸작품, 즉 나 자신을 보고 만족하며 감사하게 되는 것이다. 거울 앞에 서면 남자는 “나 잘났어” 하고, 여자는 “어머, 여기 코가 왜 이래?” 한다고? 아니다. 그 사람이 그런 것뿐이다. “천상 여자”가 있는 반면, “무늬만 여자”인 경우도 얼마나 많은가. 남자의 성격이 얼마나 섞였는지에 따라 여자는 천차만별이다. 도대체 종잡을 수가 없다.

    그러나 뭐가 어찌 되었건 간에, 주님이 어떻게 만드셨건 상관없이 마음의 동기는 속일 수 없다. 예수님, 내 마음의 동기가 주님 앞에서 항상 진실하도록 도와주세요. 아멘.